시즌 1 돌아보기 – ⑥ 솜이불 같은 글쓰기


시즌 1 돌아보기 – ⑥ 솜이불 같은 글쓰기

살다보면 누군가의 조언이 꼭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물론, 웹 사이트에 검색만 하면 쏟아지는 다양한 정보들이 있지만 그런 상투적이고 기계적으로 쓰인 것들은 ‘따뜻한 조언’이라고 하기는 어렵지요. 먼저 길을 걸어보았던 인생 선배들이 직접 자신의 목소리로 전달하는 조언은 웹 사이트의 정보와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더라도 그 묵직함이 남다릅니다.

글쓰기의 솜이불 – 은유 작가와 홍승은 작가의 북토크

4월 25일에 진행된 은유 작가와 홍승은 작가의 북토크는 <나를 일으키는 글쓰기>라는 타이틀로 진행되었습니다. 시종일관 즐겁고 편안한 분위기로 진행되어 두 시간이 넘는 시간이 무색하리만큼 짧게 느껴졌습니다. 차 한 잔 시켜놓고 카페에서 대화하는 느낌이었어요. 글쓰기에 대한 묵직한 조언을 들을 수 있는 ‘선배’ 작가들의 북토크는 두 작가의 글을 쓰는 삶에 대해서도 엿볼 수 있었지만 다양한 현장 질문을 통해 글을 쓰고자 하는 ‘후배’ 작가들의 고민을 듣고 함께 생각하는 시간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북토크는 은유 작가와 홍승은 작가가 자기 자신에 대해 과찬과 칭찬을 하는 것으로 유쾌하게 시작했습니다. “글만 잘 쓰는 줄 알았는데 원피스도 잘 어울리는 은유 작가”와 “감기에 걸렸음에도 6장의 원고를 써온 철저한 준비성의 홍승은 작가”. 두 작가의 인연은 2015년부터 홍승은 작가가 은유 작가의 <올드걸의 시집>을 읽고 감명을 받고 글쓰기 강연을 청강하면서 인연이 시작되었습니다. 은유 작가는 홍승은 작가가 책을 내고 동료가 되어 서로의 글을 보고 배울 수 있다는 게 좋았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두 작가가 함께 북토크를 한 것은 의외로 이번이 처음이라 더욱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북토크를 보고 있는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 할 주제인 글쓰기에 대해서도 두 작가는 진솔하게 털어놓기도 했습니다. 은유 작가는 글을 쓴다는 것은 막막하고 비현실적인 꿈이었다고 합니다. 어머님의 죽음을 경험하고 가장 힘들었던 시기에 가장 하고 싶은 것을 하자고 결심했을 때, 그것은 글쓰기였다고 합니다. “글을 써서 먹고 살아야지” 라는 다짐은 힘든 시기에도 기둥처럼 은유 작가를 지탱하게 되었지요. 홍승은 작가는 글에 대해 자신감이 없던 시절에 불안감을 담아 은유 작가에게 긴 메일을 보낸 적이 있다고 합니다. 홍승은 작가의 고민은 놀랍게도“제가 감히 책을 써도 될까요?” 였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글을 쓰게 되었는가에 대한 답으로 홍승은 작가는 ‘일기’를 꼽습니다. 외면하고 싶었던 청소년 시절을 기록했던 일기를 20대를 지나 차마 채우지 못했던 빈틈을 채운다는 느낌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고, 그 글로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글을 쓰는 작업이 혼자 하는 것 같지만, 결국은 글을 쓰는 나와 글을 읽는 타인과의 소통이었습니다. 홍승은 작가는 얼굴도 모르는 누군가가 내 책을 읽고 나의 경험에 공감을 해주는 것에 큰 감명을 받아 지금까지 글을 쓰고 있다고 말했고, 홍승은 작가 역시 은유 작가에게 그런 독자이기도 했으니까요. 타인과 나누는 소통은 은유 작가와 홍승은 작가 뿐 아니라, 현장 질문에서도 나올 정도로 중요한 주제였습니다. 질문 내용은 잘 써야 한다는 강박감과 비판에 대한 공포감을 떨치는 방법이었는데요. 두 작가가 공통으로 생각하는 방법은 바로 두려움을 나누고 칭찬을 해줄 수 있는 동료였습니다.

동료 중에서 글을 쓰면서 달라졌다는 사람을 본 적이 있을까. 그 질문에 두 작가는 각자가 마주했던 인상적인 동료를 얘기했습니다. 홍승은 작가는 아이를 키우면서 온전히 자신을 위해 주어진 세 시간의 글쓰기 수업을 위해 아이의 방을 쓰며 아무에게도 방해 받지 않겠다고 선언한 기혼 여성의 이야기와 모임에서 만난 동료의 글을 정성스럽게 읽고 싶어서 프린터를 샀다는 사례를 들려주었습니다. 은유 작가는 “프린터 하나를 들였다는 것은 타인의 삶이 들어온 것” 이라며, “글을 잘 쓴다는 것은 남의 글을 잘 읽어야 한다는 것” 이라고 멋지게 정리했습니다. 그러면서, 내면의 힘이 길러져서 서울을 떠날 수 있었다는 동료의 이야기와 부모님에게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서 말할 수 있게 된 성소수자 동료를 언급하며“글쓰기는 자신의 삶을 직시하게 하는 힘이 있다” 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나의 인생의 전환을 알리고 싶어요. 좋은 것이든, 힘든 것이든, 좋은 것이든… 모두가 알았으면 좋겠는 마음이요.” – 은유

“처음에는 나의 화병 때문에 썼지만, 나중에는 내가 겪은 차별의 경험이 사회와 연결 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내 글이 누군가를 덜 소외시켰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 홍승은

북토크를 통해 들은 두 작가의 말이 적당한 무게감을 주는 솜이불 같은 이유는 거창하거나 특별한 주제 의식이 있어서가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과 맞닿아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의례 있어왔던 작가의 권위의식에서 벗어나 글을 쓰고자 하는 모두가 동료이고, 그 동료를 통해 글을 쓰는 힘을 얻는다고 힘을 주어 말하고 있습니다.

그건 바로, 두 작가 역시 글을 쓰는 우리의 동료라는 의미입니다. 글쓰기 선배들의 편안한 조언과 유쾌한 경험을 들으며 조금은 편안한 마음으로 글쓰기를 마주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글이 마무리 안 되는 건 원래 그런 것이다” 라던 은유 작가와 ;“글을 쓸 때 새벽 감성을 조심해라” 는 홍승은 작가의 말이 유독 기억이 남아 웃음 짓게 되는 건 왜 일까요.

<4050, 책에서 길을 묻다> 추진단 드림


은유 작가의 도서

  • <쓰기의 말들>

    • 안 쓰는 사람이 쓰는 사람이 되는 기적을 위하여
    • 은유 지음 | 유유
  • <은유의 글쓰기 상담소>

    • 계속 쓰려는 사람을 위한 48가지 이야기
    • 은유 지음 | 김영사

홍승은 작가의 도서

  • <관계의 말들>

    • 함께 또 따로 잘 살기 위하여
    • 홍승은 지음 | 유유
  •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

    • 계속 쓰려는 사람을 위한 48가지 이야기
    • 홍승은 지음 | 동녘

양현범

사계절출판사에서 책을 알리는 일을 하며,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에서 회장을 맡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