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해 소개
2018 책의 해
2018 책의 해
‘2018 책의 해’는 디지털 환경의 진화 등으로 인한
출판문화산업의 위기 구조를 타개하고
출판 수요를 창출해 출판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추진되었습니다.
- ‘함께 읽는 대한민국’, ‘국민 독서율 제고’, ‘출판 수요 창출’ 등을 목표로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하였습니다. ‘책의 해’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민관이 공동으로 조직위에 참여했습니다. 대한출판문화협회, 한국출판인회의, 한국서점조합연합회를 비롯한 출판·서점·도서관 등 범출판계와 문학계, 언론계 등 23개 기관장(단체장)이 위원으로 위촉되었고, 다채로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행사 분과, 언론 분과, 포럼 분과 등 6개 분과로 집행위원회가 꾸려졌습니다.
- 표어인 ‘함께 읽는 2018 책의 해’ – ‘무슨 책 읽어?’는 비독자들이 함께 읽는 재미로 책의 가치를 인식하고 소통을 통해 책 읽기의 중요성을 확산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무슨 책 읽어?’는 젊은 층들이 누리소통망(SNS)에서 해시태그(#) 등으로 활용해 확산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습니다.
상징
표어
주요 사업
-
출범식
- 출범식(3.22)
-
대국민 행사
- ① 함께 읽는 책의 해 어울림 마당
- ② 세계 책과 저작권의 날 연계 행사(4.22~23)
-
함께읽기 사업
- ① 나도 북튜버(Book+Youtuber) 캠페인
- ② 위드북(With Book) 캠페인
- ③ 북캠핑
- ④ 북클럽(독서동아리) 리그
-
공모사업
- ① 우리 고전 다시 쓰기
- ② 시민 책·독서 프로그램 공모 지원
- ③ 지역별 ‘책 플러스(+) 네트워크’ 발족
- ④ ‘책 마을’ 지정 시범 사업
- ⑤ 지역 책 축제(지역도서전) 우수 프로그램 지원
-
서점 협력 사업
- ① 찾아가는 이동 서점, 북트럭
- ② 전국 심야 책방의 날
-
도서관 협력 사업
- ① 책 읽는 가족 한마당 축제
- ② 도서관 독서 모임 확대
- ③ 도서관 우수 독서프로그램 발굴
-
책 생태계 포럼
- ① 국제 포럼(2회)
- ② 국내 포럼(8회)
- ③ [국내 포럼 연계] 독자 개발 연구
-
책의 해 기념 사업
- ① 하루 10분 함께 읽기 캠페인
- ② 책읽는나라 의원연맹 발족
- ③ 전국책읽는도시협의회 출범
- ④ <책나라 책나눔 센터> 오픈
- ⑤ 책 있으면 할인! 이벤트